본문 바로가기
Visual_개발

조명 디자인에 의한 감정 표현

by 그놈궁댕이 2022. 5. 28.
반응형

 

내용 출처 = https://cgworld.jp/regular/201807-yorikoito-18.html

 

 

 

조명 디자인에 의한 감정 표현

 

 

<음영(명암)을 사용하여 화면을 디자인합니다.>

'키아로스쿠로'(Chiaroscuro)라는 말을 아십니까?

이탈리아어로 「명암」을 가리키는 단어로, 미술에 있어서는 명암의 콘트라스트를 가리킵니다. 키아로스쿨로는 영화의 라이팅 디자인에도 이용되고 있어, 화면에 명확한 명암(하이콘트라스트)을 만들어 음영을 디자인해 갑니다. 또, 투영(캐스트 섀도우/Cast Shadow)(※)을 디자인의 툴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공포」 「긴장」등의 감정이나, 「미스테리어스」인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림자는 화면 구성을 재미있게 만드는 도구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빛에 비추어진 물체에 의해 생기는 다른 물체 위에 떨어지는 그림자를 캐스트 그림자라고 부릅니다.

 

 

 

 

 

 

 

 

 

 

==

<키아로 스쿨로에 의해 명암을 디자인>

하이 콘트라스트의 화면을 만들 때는 빛이 닿는 곳을 어떻게 디자인하는지가 키 포인트입니다. 또 미스테리어스에 보여주고 싶은 캐릭터나 모티프는, 그림자 안에 배치합니다. 필요 이상으로 '보이게 되어 버린다'는 그림이 번잡해져서 그림의 초점(Focal Point)을 모르게 됩니다. 명암의 콘트라스트가 뚜렷한 화면은 음영 부분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시각에 호소하는 힘이 강해지고, 신비한 분위기가 강조됩니다.

 

【왼쪽】의 스케치에는 많은 디테일이 그려져 있습니다만, 그 대부분을 굳이 보이지 않고, 인물에게만 빛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화면이 단순해지고 리더빌리티가 높아졌습니다. 가장 강한 빛을 안쪽의 인물에 맞추는 것으로, 신비한 분위기도 표현하고 있습니다

 

 

 

 

 

▲『에마오의 만찬(Supper at Emmaus)』(1606)(미켈란젤로 메리지 다 카라바지오/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1571-1610). 렘브란트는, 키아로스쿠로를 강조하는 라이팅을 좋아해 사용했습니다. 본작에서는 그리스도가 되살아나 그 정체를 제자에게 밝히는 장면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 만찬 후 그리스도는 사라집니다. 그리스도의 좌반신은 그늘에 숨겨져 있고 신비한 분위기가 강조됩니다.

 

 

 

▲『감옥의 성 베드로(St. Peter in Prison)』(1631)(렘브란트 판 레인/Rembrandt van Rijn/1606-1669). 감옥에 담긴 성 베드로를 어두운 그림자 속에 배치함으로써 그 절망과 불안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한편, 그 표정과 「하늘의 열쇠」에 빛을 비추는 것으로, 하나님의 손이 뻗어 있는 것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그림은 명암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절망(어둠) 속의 희망()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Citizen Kane(방제:시민 케인)』(1941)(오슨 웰스(Orson Wells) 감독) 안의 샷. 향해 우측의 인물은 굳이 얼굴만이 그림자 속에 숨겨져 있어 관객에게 누구인가?라고 하는 의문을 안고, 신비한 분위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 헨리 셀릭(Henry Selick) 감독의 'Shadowking'을 위해 필자가 그린 비주얼 개발(이 작품은 취소되었습니다). 인형들에게 아래에서 빛을 비추고, 눈을 그늘 속에 넣는 것으로 「소름」 「공포」 「미스테리어스」등의 감정이나 분위기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

<다양한 캐스트 그림자로 명암을 디자인합니다.>

캐스트 그림자는 다양한 사용법을 제공하는 매우 편리한 도구입니다. 화면의 그림자 모양과 분량에 신경을 쓰면서 스토리텔링에 직결하는 재료로 사용합시다.

 

▲『The Third Man(방제: 제3의 남자)』(1949)(캐롤 리드(Carol Reed) 감독) 안의 샷. 범인을 쫓는 장면에서는 항상 범인의 캐스트 그림자가 비추어지고 있습니다. 이것에 의해, 범인의 정체를 보이지 않고 그 존재를 강조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공포」 「위압감」등의 감정이나 분위기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 'Shadowking'을 위해 필자가 그린 비주얼 개발. 향해 우측의 2명을 쫓는 인물의 캐스트 그림자를 그리는 것으로, 「공포」 「위압감」등의 감정이나 분위기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The Third Man』안의 샷. 인물의 캐스트 그림자는 재미있는 레이아웃을 디자인하는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샷의 캐스트 그림자는 장면의 데코레이션으로서, 레이아웃에 재미를 더하는 툴로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제작의 'Zootopia(방제 : 주토피아)'(2016) 안의 샷을 필자가 인용 목적으로 모사한 것입니다. 주인공의 토끼 위에 큰 물소의 캐스트 섀도가 얽히는 것으로, 양자의 크기의 차이와 위압감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Phantom Lady(방제:환상의 여자)』(1944)(킬로버트 시오드맥(Robert Siodmak) 감독) 안의 샷. 창문의 빛으로 인물의 그림자를 바닥에 투영함으로써 인물의 상징적인 인상이 더욱 강조됩니다.

 

 

▲『Stranger on the Third Floor(방제:3층의 낯선 남자)』(1940)(보리스 잉스터(Boris Ingster) 감독) 안의 샷. 창문을 보지 않고 창문의 빛과 창문의 블라인드 (또는 가로장)가 만드는 그림자를 벽에 투영하여 앞에 서는 인물의 시선 방향을 시사합니다.

 

 

▲ 'Shadowking'을 위해 필자가 그린 비주얼 개발. 캐스트 섀도우만으로 화면의 왼쪽에 있는 것( 가지가 구부러진 나무와 그네를 탄 인물)를 시사하는 것으로, 소름 끼치는 분위기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 길의 반대편에 있는 건물의 캐스트 그림자를 사용해 Focal Point가 되는 인물에 일조의 빛을 대는 것으로, 화면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한 영화의 대부분은 1940년대에 만들어진 필름 느와르(film noir)라고 총칭되는 영화입니다. 이 시대의 영화는 단색이기 때문에 명암 디자인이 뛰어납니다. 클래식한 디자인은, 지금의 디자인에도 대단히 도움이 되어 기본이 됩니다. 여러분도 꼭, 여러가지 클래식 영화를 보고, 그 디자인을 연구해 주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