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_이론

디즈니의 문화제국주의적 특징과 개념.

by 그놈궁댕이 2023. 2. 11.
반응형

디즈니의 문화제국주의적 특징과 개념.

 

 

*약 25년 전 쓰인 분석 내용이다.

*오래된 자료를 정리하다 찾아서,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한다.

*box 안의 내용은 내 생각을 추가로 적어 정리한다..

 

 

 

내용의 요지는, 디즈니는 미국 중심의 해피앤딩의 작품을 지속적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지속적인 작품의 노출로, 많은 사람들이 직간접적으로 미국이 우월하다는 인식을 심는다는 메시지를 갖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디즈니의 작품을 찬양하는데, 자신도 모르게 미국 우월주의에 길들여지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 미국의 도움으로 조국이 통일되었기 때문에 미국 우월주의가 더욱 노골적이며 반 강제성을 갖는 게 아닐까 싶다.

 

 

 

 

 

 

 

 

==

디즈니메이션의 담론체계는 문화제국주의적인 경제적 관점과 팍스 아메리카나라는 정치적 관점, 그리고 콤플렉스와 신드롬의 심리적 조건에 기반한 문화산업적 관점 등으로 분석되어진다.

 

<팍스 아메리카나>
2차 세계 대전 후 강한 군사력을 가진, 미국 주도하에 이뤄지는 세계 평화 기조.

실제로 미국의 힘이 강한것도 맞지만, 유럽의 대다수의 나라는 전쟁을 통해 망가졌기 때문에, 유일하게 직접적 타격이 없던 미국이 모든 힘과 세계의 패권을 갖게 된거 같다.


 

 

 

 

 

문화제국주의적인 경제적 관점은 항상 미국 내 작품으로 기획하지 않고, 세계시장 배급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미국적 사고방식에 기반하지만, 탈국적 캐릭터를 양산 시킨다.

 

최초 동물캐릭터를 이용하여 문화적 할인율을 극대화시킨 전략이나 최근 그리스 신화, 중국 설화, 유럽의 민담 등에 기초하고 있는 것을 보더라도 외연적 코드는 세계지향이나, 그러한 형식을 구성하는 내연적 코드를 미국식 사고방식으로 재현시키는 문화제국주의적 경향을 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파라마운트 소송으로 미국내 시장보단, 해외 직배 시장의 수요가 더 커지면서, 자연스럽게 탈국적 캐릭터를 사용하는거 같다.
하지만 그것에는 미국적 사고 방식이 깊게 작용할 수밖에 없지 않을까 생각한다.

 

디즈니메이션은 항상 할리우드 장르영화의 특성처럼 해피앤딩으로 마무리된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이라는 국가적 지형이 해피앤딩의 인생으로 개념화되고, 미국에 대해 지향된 막연한 환상은 아메리칸 드림이나 팍스 아메리카나로 병치되어 미국에 대한 비판의식을 희석화시켜 버린다. 이러한 정치적 관점에서 디즈니메이션 '보수우익의 캠페인 프로그램'으로 평가받을 수도 있다.

 

 

 

디즈니의 캐릭터가 세계화를 지향한다고 해도, 미국을 상징 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이 주도하는 작품의 메시지는 미국 주도의 사상이 깊게 깔고 있다고 보는게 아닐까?


늘 행복하고, 교훈적이며, 아름다운 세상을 그려나가며, 그것의 상징은 미국을 은유적으로 상징하는거 같다.
그리고 대부분의 나라는 미국의 앞도적 영향력 아래 있었고, 미국을 미화하고 미국이 싫어하는 것을 맹목적으로 함께 싫어 한다.

 

 

 

 

 

또한 '신데렐라 콤플렉스'와 '피터팬 신드롬'은 디즈니메이션의 기본 스토리텔링을 형성하는 중요한 두 축인데, 이러한 콤플렉스와 신드롬이 지닌 상품 이데올로기가 부수산업과 연계되면서 막대한 문화산업적 자본가능성을 내재하게 된다는 것이다.

 

여성관객을 목표로 한 신데렐라 콤플렉스는 항상 왕비와 공주에 대한, 그리고 백마 탄 왕자님을 기다리는 여성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그러한 호기심이 사행심으로 연계되도록 다양한 코드를 상품에 적용한다는 것이다.

 

우아함과 상류계층이 되는것이 삶의 미덕 이며, 백마탄 자신의 왕자님을 기다리는 심리가 자연스럽게 여성의 마음속에 사행심과 허영심을 부추기는 것이 되는거 같다.

 

 

 

 

 

 

 

 

 

남성관객을 목표로 한 피터팬 신드롬은 신데렐라의 간접적 코드로 작용하면서 여성관객으로 하여금 자신의 파트너를 피터팬으로 만드는 과정에 자신이 신데렐라가 될 수도 있다는 환상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디즈니메이션의 담론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① 신화, 동화, 민담에 시나리오 기초

② 문화제국주의의 첨병적 외교학

③ 콤플렉스와 신드롬의 절묘한 공략

④ 디즈니 여성캐릭터들의 담론 변천사와 시대상의 영향

⑤ 대사의 시적추구

⑥ 색채선정의 미학

⑦ 동작과 표정의 지속적 연구

⑧ 전체 작품의 일관적인 조명계획 진행

⑨ 배경음악의 스토리화

⑩ 더빙의 탈정형화가 불러온 포스트정형화

 

 

 

 

 

 

 

 

디즈니의 모든 작품은 신화, 동화, 민담을 그 바탕으로 하고 있다.

초기 작품들은 미국과 유럽의 동화에 기초하여 작품을 구상했으며, 최근에도 국지적 민족주의에 기반한 설화 등의 수집에 열중하고 있음을 볼 때 신화분석(Myth)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이미 파악하고 작업을 시도하는 듯하다. 이러한 원작의 전용 전략은 혼성모방(페스티쉬)이라는 심화된 기법으로 분석되기도 한다.

 

 

또한 이미 지적했듯이 디즈니는 문화제국주의의 첨병역할을 애니메이션 작품그룹으로 형성해 낸다.

어릴 때부터 디즈니메이션과 디즈니의 칼라판 도서를 보고 자란 어린이 및 청소년들은 미국의 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제하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가상적 외교관으로서의 역할을 극대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디즈니에서 만든 작품을 봐온 아이들은 커서도, 미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만든다.

 

 

 

 

 

 

디즈니사가 최초로 시작한 국가별 배급쿼터제는 국가별로 배급가격 가이드라인을 설정, 국가경제 수준에 맞는 비용으로 마케팅을 시도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전 세계적인 효율적 배급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른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가 가동될 수 있게 된다.

 

 

 

 

 

신데렐라 콤플렉스와 피터팬 신드롬의 절묘한 공략은 각 연령층과 세대층에 관계없이 지속적인 이데올로기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디즈니 여성캐릭터들의 담론 변천사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됨에 따라 시대적 분위기를 그대로 반영하는 형식을 취할 정도의 순발력과 탄력성을 보여준다.

 

 

 

--- 디즈니의 여성캐릭터 변천사 ---

(순종, 객체적 지위 → 저항, 주체적 지위)

 

 

① 백설공주의 완전순종형

② 신데렐라의 부분순종형

③ 잠자는 숲 속의 미녀의 불만순종형

④ 인어공주의 반항가출형

⑤ 벨(미녀와 야수)이 보여주는 이지적이고 침착한 평강공주형

⑥ 알라딘의 쟈스민공주가 보여주는 능동적 내조형

⑦ 포카혼타스의 반민족적 애정추구형

⑧ 에스메랄다(노틀담의 꼽추)가 보여주는 헌신적이면서 공격적인 집시여전사형

⑨ 뮬란이 보여주는 적극적인 동양의 잔다르크형

 

 

 

 

 

 

디즈니메이션 작품의 텍스트분석을 구체적으로 하면, 대사의 시적인 추구가 분석되는데, 이는 마치 셰익스피어의 패러디를 시도한 느낌마저 관객들에게 전해준다. 그리고 이러한 대사의 시적인 추구는 배경음악의 스토리화를 연계시키는데, 이는 곧 모든 작품의 대사가 대부분 뮤지컬의 노래로 치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색채선정의 미학은 원색보다 기존 색의 고유느낌을 강화시키는 색으로 전환시켜 사용하는 제작 메커니즘을 분석한 부분인데, 이는 실사영화를 사전촬영하는 단계에서 동작과 표현의 지속적 연구를 구체적으로 진행시키는 것 외에, 모노크롬으로 분석할 수 있는 컬러링의 채도와 명도분석을 병행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대사와 의상, 색채의 철저한 기획은 전체 작품의 일관적인 조명계획과 병행되어 진행됨으로써 심도 깊은 입체감을 형성시킨다. 이는 결국 멀티플 카메라로 대표되는 디즈니메이션의 테크놀로지로도 설명될 수 있다.

 

 

 

디즈니메이션은 대부분 선녹음 작업을 시도하는데, 이는 곧 기존 애니메이션들이 후녹음작업을 하면서 성우들의 매너리즘적 더빙에 매몰되는 것을 지양하고, 새로운 스타시스템의 더빙을 선녹음으로, 마치 라디오 드라마처럼 제작함으로써 더빙의 탈정형화를 통한 포스트정형화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도 디즈니메이션의 독특한 담론적 특징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