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4 [치매 대응 7대 원칙]_앞으로 닥쳐올 한국의 초고령화 문제 [치매 대응 7대 원칙]_초고령화 사회의 대표적 사회문제 우리나라는 일본의 뒤를 이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초고령화의 대표적 문제는 (일자리, 치매) 문제다. 한국 사회도 틈틈히 앞으로 닥쳐올 문제를 고민하고 해법을 함께 마련해야 할것이다. 누구나 나이를 먹고, 치매 환자도 누군가의 부모, 자식 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겠다. 1) 환경을 바꾸지 않는다 치매의 본질은 노화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사람. 몸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상태에 주변 환경까지 변화면 증상 악화. 진료를 위해 익숙지 않은 환경(입원, 요양원)으로 강요되면 증상 악화. 친구 & 지인이 많은 지역에 계속 생활하는 게 좋다. 최소한 자신이 살던 지역의 요양원으로 옮겨야 한다. 인간관계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하자. 식생활에 변.. 2023. 3. 12. 위기의 초고령사회 사회를 해결하려는 일본의 노력들 위기의 초고령사회 사회를 해결하려는 일본의 노력들 우리나의 출산율은 전 세계 꼴찌 수준에 달한다. 그리고,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기와 겹치며 한국은 일본의 뒤를 따라 가려한다. 그것은 활력과 경제가 무너져 내린 저출산 최악의 사회 즉, 초고령사회로 진입을 뜻한다. 초고령 사회인 일본의 여러가지 해법을 간략하게 정리하며, 우리나라의 미래에 대해 잠시 고민하는 시간이 되길 희망해 본다. 1) 예술가와 상생하는 방법 마을의 활기는 전적으로 아이들과 젊은 이들이 있어야 한다. 이 마을의 전략은 (예술가 유치)에 있었다. 다양한 종류의 예술가를 마을에 무상으로 집을 임대시킨다. 엄격한 심사와 검토를 통해 지원자를 선발한다. 유일한 입주 조건은 자신의 재능을 통해 마을 사람에게 지도하는 것. 예술가의 정착으로 관광.. 2023. 3. 3. 민주사회의 핵심 (여론)의 본질을 보다. 민주사회의 핵심 (여론)의 본질을 보다. 사회가 잘 유지되려면 그 사회 구성원의 의견을 경청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민주 사회는 다양한 의견을 듣고 때론 주장하는 곳이다. 때문에 여론은 민주 정치의 가장 핵심이다. 영어로 ‘Public Opinion’으로 표현되는 여론은 주로 공적 사안 등에 대해 ‘공중이 갖는 의견’이란 뜻을 가진다. 우리는 흔히 여론이 다수의 의견이 옳은 것으로 간주하지만 의견이란 말 그대로 진리를 말하지 않고 하나의 주장일 뿐이다. 다수의 의견이 언제나 항상 옳고 유익한 적은 없다. 다수 의견이 잘못될 수 있는 이유는 의견이란, 꼭 진실로만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수의 의견이 무조건 틀린게 아니라 여론 자체가 틀릴 수 있다는 것이다. 고대에는 공적인 의견이란 존재하지 않았다고.. 2022. 9. 28. 소셜 미디어가 사회적 건강을 망치는 이유 소셜 미디어의 사회적 건강에 해를 끼치는 이유 소셜미디어가 절대가치가 없다는 게 아니다. 현대 사회의 대부분은 소셜미디어와 연관이 있다. 사회의 대표적 기반이 된 만큼, 수많은 부작용을 야기한다. 1) 감정의 익명성 문제 소셜 미디어는 표정이 없다. 디지털 세상은 오직 게시물의 ’공감,비공감, 조회수‘으로만 평가되는 사회가 되었다. 정말로 공감을 많이 받으면 좋은 소통일까? 자극적이고 선동적인 게시물도 조회수와 공감이 많다. 소셜미디어가 지닌 ’ 원격‘적 특성은 사람의 정체성을 이리저리 떠돌게 만든다. 대화의 상당 부분은 비언어적 특징을 기반으로 한다. (몸짓, 표정, 반응)이 대화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즉, 내용 하나만으로 제대로 공감하는 건 불가능하다. 소셜미디어는 우리의 게시글 ’메시지‘를 상.. 2022. 8.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