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_사회_정치

전세계 인재들이 선택한 실리콘 밸리

by 그놈궁댕이 2022. 3. 13.
반응형

전 세계 인재들이 선택한 실리콘 밸리

 

실리콘 밸리의 기업 본사를 ’ 캠퍼스‘라고 한다.

대학교처럼 자유로운 분위기와 수평적 문화를 통해 혁신을 이루겠다는 그들의 철학과 자부심을 담고 있다.

 

 

 

 

 

 

 

==

<최고의 인재들이 실리콘 밸리를 선호하는 이유>

 

1> 금융 위기로 다수의 투자은행이 파산

월스트리트 일자리 감소.

스타트업,빅테크 기업의 성장으로 실리콘밸리 일자리 급증.

 

 

2> 직장인에게 제공되는 여러 편의시설

젊은 사람이 많이 모이기 때문에 편의시설이 좋음.

다양한 인종이 모여있음으로 평등성 중시 문화.

밀레니얼 세대들의 가치관은 돈보다 워라벨 추구 성향.

 

 

3> 금융위기 이후 월스트리트 보수 절감.

금융회사 보너스 잔치 끝남.

금융업은 기본 100시간 이상 높은 강도로 업무.

업무강도는 높은데, 보상 금액이 작아짐으로 매리트 감소.

 

 

4> 1년내내 쾌적한 날씨

실리콘 밸리는 1년 내내 섭씨 15도 안팎으로 사계절 차이가 거의 느끼지 못함.

1년 내내 좋은 날씨로 사람들 정신건강에 좋음.

 

 

 

5> 인재들이 선호도 바뀜

빅 테크 기술 관련 스타트업 업체들이 고성장.

미국 대학생 가장 선호하는 직업 1위 ‘소프트엔지니어’

현재, 로스쿨, MBA 보다 컴퓨터 사이언스에 인재들이 몰리고 있음.

 

 

 

 

 

 

 

 

==

<실리콘 밸리의 문화적 특징>

 

1> 꾸밀수록 가난해 보인다는 생각.

실리콘 밸리의 성공한 부자들은 대부분 공학도 출신.

그들은 꾸미는 것보다, 일하는 게 더욱 익숙함.

공대의 특성상 꾸미는 것을 별로 선호하지 않음.

 

예) 일론 머스크, 스티브 잡스, 마크 저커버그, 팀 쿡 = 수익 대부분 사업 재투자.

 

그들은 매일 똑같은 옷을 입고, 비슷한 음식을 먹고, 비슷한 업무를 수행한다.

실리콘 밸리는 기본적으로 꾸미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간혹 부자 관한 서민적인 이미지가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실리콘밸리의 특유 문화로 봐야 한다.

 

 

 

“돈을 써도 되지만, 남들 모르게 써라.”

-마크 저커버그 전 직원 이메일 -

 

 

 

 

 

 

2> 당양한 사람, 능력 우선주의

실리콘밸리는 인종이 매우 다양하다.

과학 기술 공학 수학

4가지 분야의 종사자 57%가 이민자 출신이다.

 

실리콘 밸리의 ‘산타클라라 카운티‘의 인종 구성은 백인 40%, 아시아인 29%가 된다.

이곳에서 아시아인은 절대 소수가 아니다.

로펌, 은행, 기업에는 아시아인 비율이 더 높다. 엔지니어 중에서 아시아인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곳은 다소 어설픈 영어실력이 용인되는 환경을 조성한다.

 

모든 것은 능력 기술 실용주의 가치관을 갖고 있다.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은 오로지 실력만으로 승부한다.

구글 창업 = 세르게이 브린
(러시아 출신, 유대인 부부 자식)
테슬라 창업 = 일론 머스크
(남아프리카 공하국 출신)
이베이 창업 = 피에로 오미디야르
(프랑스 출신)
줌 창업 = 에릭 위안
(대만 출신)

 

 

 

 

 

 

실리콘밸리, 캘리포니아를 제외한 미국은 조금 다르다.

여전히 금융권, 법조계에 백인이 대다수이다.

 

능력이 뛰어나지만, 백인이 아닌 인종은 자연스럽게 실리콘 밸리로 모이게 된다.

다양한 사람들의 핵심 가치는 오로지 실력이다.

이민자들은 대체로 진보주의 자이며, 창업자 정신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3> 창업 실패가 오히려 좋은 경력으로

실리콘밸리 창업자 80%는 3년 내에 망한다.

첫 번째 창업이 성공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창업 실패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과 인맥을 쌓는다.

 

실리콘밸리 밴처 금융도 이 사실을 알면서 투자한다.

창업을 하고 망하는 경우, 실리콘 밸리의 유수한 기업에 재취업하게 된다.

창업 도전과 실패는 중요한 경력과 경험으로 받아준다.

 

실패는 실패가 아니라, 새로운 경력으로 본다.

다소 나이가 많을지라도, 여러 번 실패한 사람의 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는 문화를 갖는다.

많은 창업자가 있기 때문에 창업에 대한 협조와 문화가 관대하다.

 

 
반응형

댓글